얼마전 옛 회사의 직원들을 만났다. 나도 이전 회사를 그만둔지 음.. 3년째인데 이 친구들은 나보다 먼저 회사를 떠났으니 지금도 나를 찾아주는 마음씨가 다들 고맙다. 나보다 한참 어린 나이의 친구들이지만 생각하는게 다들 깊다. 고마운 인연이다. 화순 도곡이라는 곳을 갔는데 점심은 사진을 남기지 못했고 "도곡에서"라는 카페에서 몇 장 남겼다. 가는 길이 대중교통으로는 어림없는 곳이지만 언덕 전체를 카페와 잔디밭, 꽃밭, 그리고 나무집 등으로 만들어 이색적인 카페이다. 같이 간 사람 중에 임신을 한 친구가 있는데 다음 달 출산이라는데 꼭 순산하길 바라며.. 전남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722-80
인터넷 검색 중 발견한 프로젝트관리에 관한 기술요약집이 있어 공유합니다. 쌍용건설에서 발행하는 잡지 "건설기술 쌍용"의 2006년도 가을(통권 40호)판의 내용입니다. 저자는 쌍용건설의 채맹석PMP입니다. PMP 및 정보시스템감리사 학습시 기초적인 프로젝트관리 학습요약으로 상당히 좋은 자료인 듯 합니다. 2006년도 자료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론은 변동이 없으므로 참조할 필요가 있습니다. 위 자료의 원문은 다음의 링크에서 다운로드 또는 열람할 수 있습니다. https://www.ssyenc.co.kr/ko/management/tech_ssyenc.asp?findtext=project&menu=1
23년도 기출문제3. 프로젝트 일정관리 기법 중에 하나인 GERT(Graphical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작업시간의 분포는 항상 베타분포를 가정한다.② 마디(node)에서 갈라져 나오는 화살표는 확률적으로 발생한다.③ 마디(node)의 이벤트는 항상 확정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④ 네트워크에서 루프가 허용되어 마디(node)의 이벤트나 작업이 루프에 의해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일단 GERT가 뭔지 모른다고 가정하고, 일정관리 기법 PERT/CPM은 안다고 가정하면,PERT/CPM의 특징을 골라보는 소거법으로 풀이해야 한다. 즉, PERT/CPM인 것만 찾으면 된다. 일단, ② ③ ④번의 지문은 PERT/CPM의 ..
2. 프로젝트 생애주기를 애자일 생애주기(agile life cycle), 예측형 생애주기(predictive life cycle), 점 증적 생애주기(incremental life cycle), 반복적 생애 주기(iterative life cycle)로 구분하였을 때 다음 중 반복적 생애주기의 개념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사전에 방대한 양의 계획을 수립한 다음, 한 번 의 순차적 프로세스를 통해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전통적인 접근방식 ② 미완성 작업에 대한 피드백을 수용하여 작업 결과를 개선하고 수정하는 접근방식 ③ 고객이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완성된 인도물을 제공하는 접근방식 ④ 작업 항목을 파악한 후에 점진적 방법을 취하는 접근방식 참조 : https://probedora.tistory.com/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