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시스템감리사/기출문제학습

프로젝트 원가통제(EVM)

2023. 1. 30. 16:57

23년도 기출문제

6. 획득가치분석에서 EV(Earned Value) = 110, PV(Planned Value) = 90, AC(Actual Cost) = 100일 때 다음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CV(Cost Variance) = 10
② SV(Schedule Variance) = 20
③ SPI(Schedule Performance Index) = 0.9
④ CPI(Cost Performance Index) = 1.1

 

정답은 ③이다. 원가관리에 대한 개념이나 내용을 잘 몰라도 공식만 외우고 있어도 계산해 볼 수 있는 문제.

① CV(Cost Variance) = 10                                CV=EV-AC=110-100=10
② SV(Schedule Variance) = 20                         SV=EV-PV=110-90=20
③ SPI(Schedule Performance Index) = 0.9       SPI=EV/PV=110/90=1.2

④ CPI(Cost Performance Index) = 1.1              CPI=EV/AC=110/100=1.1


22년도 기출문제 

4. 어떤 프로젝트가 특정 시점에서 획득가치 분석을 적용한 결과 획득가치(EV) = 800, 계획가치(PV) = 900, 실적원가(AV) = 700로 계산되었다. 이 프로 젝트 성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일정 성과차이(SV)는 +100이다.

   ② 원가 성과차이(CV)는 -100이다.

   ③ 일정 성과지수(SPI)는 0보다 크다.

   ④ 원가 성과지수(CPI)는 1보다 작다.

 

정답은 ③이다. 원가관리에 대한 개념이나 내용을 잘 몰라도 공식만 외우고 있어도 계산해 볼 수 있는 문제.

   ① 일정 성과차이(SV)는 +100이다.  SV=EV-PV 이므로 -100이다.

   ② 원가 성과차이(CV)는 -100이다. CV=EV-AC 이므로 +100이다.

   ③ 일정 성과지수(SPI)는 0보다 크다. SPI=EV/PV 이므로 800/900이다. 800÷900이므로 당연 0보다 크다.(약 0.88)

   ④ 원가 성과지수(CPI)는 1보다 작다. CPI=EV/AC 이므로 800/700이다. 800÷700이므로 당연 1보다 크다.(약 1.14)


2020년 기출문제

19. 완료시점 산정치(EAC: Estimate at Complete)를 나타낸 식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BAC : Budgeted at Complete
  CPI : Cost Performance Index
  SPI : Schedule Performance Index
  EV : Earned Value
  AC : Actual Cost
  ETC : Estimate to Complete

① EAC = BAC / CPI
② EAC = AC + BAC - EV
③ EAC = AC + Bottom-up ETC
④ EAC = AC + [(BAC - EV) / (CPI + SPI)]

 

정답은 ④이다. EAC = AC + ETC = BAC / CPI가 기본공식이므로 이와 다른 것을 찾는다.

④번의 함정은 CPI+SPI가 아니라 CPI×SPI이다. 

 

추세분석(Trend Analysis)에는 완료 시점 추정치(EAC : Estimate At Completion)과 잔여 지출 추정치(ETC : Estimate To Completion)가 있다. EAC는 특정시점에서의 추정한 프로젝트 완료시점의 총지출액을 말하며 이때 그 동안의 일정 및 비용의 성과를 고려한다. ETC는 특정시점에서 프로젝트를 완료할 때까지 추가적으로 지출한 비용이다.

 

EAC(완료 시점 추정치)=AC(지금까지 실제 지출비용)+ETC(앞으로 종료시점까지의 추정 비용) 이며, 결국 ETC(잔여 지출 추정치)=EAC(완료 시점 추정치)-AC(지금까지 실제 지출비용)가 된다. 여기에 VAC(완료 시점 차이)가 생기는데 최초 예산에서 프로젝트 중간에 변경된 예산의 차이를 의미한다. VAC=BAC(최초 예산)-EAC(완료 시점 추정치)로 정리할 수 있는데 결국 VAC > 0이면 최초 예산을 절약한 것이고 VAC < 0이면 예산을 초과했다는 의미가 된다.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지출에 대한 EAC를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완전히 새롭게 추정 : EAC=AC+상향식ETC(Bottom up)
   - 상향식ETC(Bottom up)은 남아있는 잔여 작업의 원가를 새롭게 추정하는 것

○ 당초 예상대로 추정 : EAC=AC+(BAC-EV)
   - BAC-EV는 남아있는 잔여 작업의 당초 추정치

○ 그동안의 비용 지출 패턴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추정 : EAC=AC+(BAC-EV)/CPI = BAC/CPI
   - CPI는 그동안의 지출 패턴.

○ 그동안의 비용 지출과 일정 패턴이 그대로 유지된다고 추정 : EAC=AC+(BAC-EV)/(CPI×SPI)

<해설 참조 출처 : [PMP 이론 정리 - 7장] 03 도구 및 기법 - (1/2) :: 33 CRAM (tistory.com)>


2018년 기출문제

9. 획득가치관리(EVM)를 사용하여 수행 중인 프로젝트의 EV(Earned Value)가 7,300만원, PV(Planned Value)가 8,200만원, AC(Actual Cost)가 7,750만원 일 때, SV(Schedule Variance)는 얼마인가?

① -900만원   ② 900만원  ③ 450만원   ④ -450만원

 

정답은 ①이다. SV=EV-PV 이기 때문에 7300-8200 = -900이다.


2017년 기출문제

2. 다음 일정 및 원가에 대한 현황 분석표를 보고 질문에 답하시오. 프로젝트 시작 시점에서 3일차까지 경과한 프로젝트의 성과 현황을 파악해보니, 활동A와 활동B는 각각100% 완료되었으며, 활동C는 75%, 활동D는 50%가 진척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3일차까지의 PV(Planned Value)와 EV(Earned Value)를 50-50법칙(rule)을 적용하여 산정하면 각각 얼마인가?

활동이름 소요기간 소요원가 직전 선행활동
A 2 200 -
B 2 200 A
C 4 400 A
D 2 200 A

① PV=500, EV=800
② PV=800, EV=700
③ PV=600, EV=700
④ PV=700, EV=600

 

정답은 ③이다. 획득가치 측정기준은 아래의 표를 참조하자. 50-50법칙을 이용하면 시작시점에 예산을 50%반영하고, 종료시점에 50%를 반영하므로 각각의 활동에 대해 계산을 하되, 주의해야 할 점은 직전 선행활동이 A를 제외하고 모두 A라는 점이다. 즉, A활동이 모두 끝나고 나서 B,C,D가 동시에 시작했다는 이야기다. A가 2일을 소요했고, 3일째 되는 날은 B,C,D모두 하루씩밖에 소요하지 못했다. 

 

PV(예상기성고)는 특정 시점까지 완료하기로 계획된 작업의 양(비용)이고, 
EV(실적기성고)는 특정 시점까지 완료한 작업의 양(비용).

AC(투입비용)는 특정 시점까지 완료한 작업을 위한 실적원가이다.

 

PV(Planned Value)의 계산 : 총 600, 3일째 현재 시점 기준 예상되는 비용

 - A활동(200) : 왜? 첫째날 50%주고, 둘째날 50%를 주고 모두 끝나버렸음

 - B활동(100) : 왜? 시작날 50%를 주니까.

 - C활동(200) : 왜? 시작날 50%를 주니까.

 - D활동(100) : 왜? 시작날 50%를 주니까.

 

EV(Earned Value)의 계산 : 총 700, 3일째 현재 시점 기준 실제 달성 비용

 - A활동(200) : 왜? 첫째날 50%주고, 둘째날 50%를 주고 모두 끝나버렸음(PV=EV) 즉, 100%달성.

 - B활동(200) : 왜? 100% 달성했기에.

 - C활동(200) : 왜? 소요원가가 400이고 75%를 달성했음. 50%인정(아직 안끝났음)

 - D활동(100) : 왜? 소요원가가 200이고 50%를 달성했음. 50%인정(아직 안끝났음)


2019년 기출문제

3. 프로젝트에 배정된 총 예산은 120이다. T 시점에서 계획 가치(PV)는 100이고, SPI(Schedule Performance Index)는 1.10이다. 계획 가치와 실제 비용의 차이가 뚜렷한 추세 없이 0을 중심으로 불규칙하고 무작위로 변동하고 있다. 향후 모든 작업이 예산 책정 비율로 완수될 것이라고 가정(문제풀이 핵심키워드) 할 때, 완료까지 추정치(ETC :Estimation to Completion)는 얼마인가?

① 10         ② 20          ③ 1.10          ④ 1.20

 

정답은 ①이다. 전체 예산은 120이므로 BAC=120이다. SPI=EV÷PV이므로 1.10=EV÷100 이니까. EV=110이 된다.

그리고 BCWR=BAC-EV이므로 BCWR=10이 된다. CPI=EV÷AC인데 모든 작업이 예산책정 비율로 완수된다고 했으니 CPI는 110÷110=1이다. 즉, CPI=1. 따라서 ETC=BCWR÷CPI이므로 ETC=10÷1=10이 된다.

 

2020년 기출문제

13. 다음은 특정 시점에서 세 개의 프로젝트의 획득 가치 분석을 적용한 결과이다. 지금까지 성과에 대해 일정은 계획보다 빨리 진행되고 있지만, 비용은 계획보다 더 많이 지출되고 있는 프로젝트를 모두 고른 것은?

 · 프로젝트 A: 획득가치(EV) = 200, 계획가치(PV) = 150, 실제원가(AC) = 210
 · 프로젝트 B: 일정차이(SV) = 20, 비용차이(CV) = 30
 · 프로젝트 C: 일정성과지수(SPI) = 0.9, 비용성과 지수(CPI) = 1.1

① 프로젝트 A (SPI=EV/PV 이므로 200/150=1.33이다. 일정이 계획보다 빠르게 진행중이다.)
② 프로젝트 B (SV=EV-PV다. CV=EV-AC이다. SV, CV 모두 양수이면 좋은 것이다. 음수는 나쁜 것)
③ 프로젝트 C (SPI가 1보다 작으므로 일정이 지연중이고 CPI가 1보다 크므로 예산은 절감중이다)
④ 프로젝트 A, 프로젝트 B, 프로젝트 C

 

정답은 ①이다. 문제의 조건은 일정은 계획보다 빠르게 진행(SPI>1)되고, 비용은 계획보다 더 많이 지출(CPI<1)되는 상황이다.


EVM(Earned Value Management) : 획득가치 관리(기성고 기법)

획득가치 측정 기준 설명
완료율법(percent complete) 목표의 완료된 퍼센트로 나타냄
50/50법칙 시작시점에 예산 50% 반영
종료시점에 예산 50% 반영
20/80법칙 시작시점에 예산 20% 반영
종료시점에 예산 80% 반영
0/100법칙 시작시점에 예산 0% 반영
종료시점에 예산 100% 반영
구분 설명
측정
요소
PV   Planned Value (계획기성)
  계획서 상에 현 시점까지 소요 예정이었던 예상 비용 값
  계획된 업무의 양의 가치 = BCWS(Budgeted Cost for Work Scheduled)
EV   Earned Value (실적기성)
  현재 실제로 달성된 내용까지의 계획서 상의 예상 비용 값
  실제 완료된 업무의 양의 가치 = BCWP(Budgeted Cost for Work Performed)
AC    Actual Cost (투입비용, 원가)
  현재 실제로 달성된 내용까지의 실제 사용한 비용 값
  실제 완료된 업무에 투입된 비용 = ACWP(Actual Cost for Work Performed)
분석
요소
SV   Schedule Variance (일정편차) : 음수는 일정지연(나쁜것)
  SV = EV - PV
  SV>0 : 단축, SV=0: 준수, SV<0:  지연 
CV   Cost Variance (비용편차) : 음수는 예산초과(나쁜것)
  CV = EV - AC
  CV>0 : 점감, CV=0: 준수, CV<0:  초과
BAC   Budget At Completion
  전체 프로젝트에 할당된 예산
SPI   Schedule Performance Index (최초계획 대비 진척도)
  SPI = EV /PV
  SPI > 1 : 계획보다 초과 진행 중
  SPI < 1 : 계획보다 지연 진행 중
CPI   Cost Performance Index (단위비용당 성취도(생산성))
  CPI = EV / AC
  CPI > 1 : 계획보다 원가절감 진행 중
  CPI < 1 : 계획보다 원가초과 진행 중
TCPI   To Complete Performance Index
  (
남은 작업을 남은 예산으로 완료하기 위해 요구되는 생산성))

  (BAC-EV)/(BAC-AC)
  값이 적을수록 좋음
예측 요소 BCWR   Budgeted Cost for Work Remained (남아있는 일에 대한 예산)
  BCWR = BAC - EV
ETC   Estimating To Completion (프로젝트 완료시까지 잔여 예상 원가)
  ETC = BCWR / CPI
EAC   Estimating At Completion (프로젝트 완료 예산)
  EAC = AC + ETC = BAC / CPI
VAC   Variance At Completion (프로젝트 완료 시점 비용 편차)
  VAC = BAC – EAC
실제진척상황   (EV – PV) / PV = SV / PV
  값이 0 보다 크면 일정선행
  값이 0 보다 작으면 일정지연
실제예산상황   (EV – AC) / PV = CV / PV
  값이 0 보다 크면 예산 절감
  값이 0 보다 작으면 예산 초과

<표 및 설명 출처 :  지식덤프>


추가 참조 :

james_0723님 블로그(https://blog.naver.com/james_0723/220727388231)

위  2017년 문제는 위 블로그의 아래 그림이 모든 걸 알려준다!!!!!

 

33CRAM 블로그 - 원가관리(퀴즈) :  https://33cram.tistory.com/201

저작자표시 동일조건 (새창열림)

'정보시스템감리사 > 기출문제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RT(Graphical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0) 2023.05.10
반복적 생애 주기(iterative life cycle)  (0) 2023.05.10
고정비율법(fixed formula)  (0) 2023.05.08
ISO 21500 주제그룹  (0) 2022.12.01
정보시스템감리사 2015년~2024년 기출문제  (0) 2022.05.04
전산관련 문제은행  (0) 2021.01.26
'정보시스템감리사/기출문제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반복적 생애 주기(iterative life cycle)
  • 고정비율법(fixed formula)
  • ISO 21500 주제그룹
  • 정보시스템감리사 2015년~2024년 기출문제
nooree
nooree
순전히 개인적인 학습 기록을 위한 블로그입니다.
nooree
學習⚡日記
nooree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22)
    • 🧡 신변잡기 (21)
    • 📸 사진 (49)
    • 정보시스템감리사 (27)
      • 가이드 및 지침, 법령 (8)
      • 기출문제학습 (7)
      • 참고자료 (12)
    • ColdFusion (11)
    • Linux & Windows (8)
    • Web & Media (6)

블로그 메뉴

  • 😋 홈
  • 📌 유용한 링크
  • 📌 참조 블로그
  • 💛 방명록

인기 글

최근 글

최근 댓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nooree
프로젝트 원가통제(EVM)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